TearDitch
지난 시간에는 MATLAB(매트랩)의 논리연산(Logical Operatioin)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4 논리연산자와 논리연산] 오늘은 이것을 활용한 제어흐름(Control Flow)을 배워보겠습니다. 제어흐름(Control Flow)은 크게 보면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s)과 루프 제어문(Loop Control Statements)으로 나뉘어 집니다. 조건문이란 예를들어 'A라는 조건이 만족되면 B를 수행해라'와 같은 것입니다. 루프 제어문은 특정한 조건이 되기까지 어떤 연산을 반복하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이런 제어흐름을 사용하는 이유는 복잡한 연산을 단순한 논리적 형태로 분할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런 제어흐름에 딸린 조건들에 지난 시간에 살펴본 논..
오늘은 MATLAB(매트랩)에서 사용되는 논리연산자(Boolean operator, Relational operator)와 이것을 이용한 논리연산(Logical operation)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논리연산이란 참(True)과 거짓(False)을 판단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에 사용되는 연산자(operator)를 논리연산자(Boolean operator)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논리연산은 논리적 흐름을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를 할 때 사용됩니다. 대표적으로 다음에 살펴볼 조건문과 같은 형태를 들 수 있겠죠. 예를들어 우리가 성별/연령별 키와 몸무게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보죠. 만약 우리가 성별로 연령대별 키와 몸무게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 싶다면 우리가 갖고 있는 데이터..
MATLAB(매트랩)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숫자형 데이터(Numerical data)의 기본적인 수치연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살펴본 데이터 형식[#2 데이터 형식(Data Type)]에서 숫자형 데이터(Numerical data)는 주로 Matrix 형태의 다차원 array로 저장된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숫자형 데이터의 수치연산은 주로 스칼라(scalar), 벡터(vector), 행렬(matrix)의 연산과 같습니다. MATLAB에서는 스칼라 역시 1x1 행렬과 동일하게 취급하기 때문에 가장 기본은 행렬연산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먼저 초등학교로 돌아가서 단일 값을 갖는 유리수의 연산을 살펴보겠습니다. 덧셈, 뺄샘, 곱셈, 나눗셈 사칙연산이 되겠습니다. >> % 덧셈 >> a =..
오늘은 MATLAB에서 다루는 데이터 형식(Data Type)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MATLAB을 사용하게 되면 많은 변수를 다루게 되는데요. 이 때 이 변수가 어떤 형식의 정보를 담고 있는지에 따라 데이터 형식이 결정됩니다. 보통 C언어에서는 데이터 형식을 먼저 선언하게 되지만 MATLAB은 이와는 다르게 별도의 선언 없이 사용자가 어떤 정보를 담는지에 따라 데이터 형식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MATLAB에서 다루는 기본 데이터 형식은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출처: https://kr.mathworks.com/help/matlab/matlab_prog/fundamental-matlab-classes.html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MATLAB은 기본적으로 거의 모든 데이터를 매트릭스(프..
[너Do 나Do MATLAB]의 첫 번째 포스팅은 처음 MATLAB SW를 실행 시킨 후 나의 작업 공간을 정해주는 경로지정 하기로 시작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MATLAB을 실행 시키면 왼쪽에는 Current Folder 창, 가운데 Command Window로 구성되어 있고 상단 메뉴바와 창 사이에 폴더 경로 주소가 나오는 형태로 GUI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현재 폴더창이 바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려는 작업 공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처리하고자 하는 데이터 또는 스크립트 파일(*.m)이 이 폴더 내에 위치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어떤 파일이건 인식하지 못 합니다. 만약 내가 작업하고자 하는 데이터 또는 스크립트 파일이 여러 폴더에 분산되어 있다면 그 해당 파일을 실행하기 위해 항상 현..